COLLEGE OF HUMANITIES • 인문대학

예술창작학부 문예창작전공

열정문창!

예술창작학부 문예창작전공

MAJOR IN CREATIVE WRITING

creativewriting.ssu.ac.kr

02-820-0043

학과 설립

1998

입학 정원

28

교직과정 개설여부

o x

전임교원

5

학과 소개

숭실대학교 문예창작전공은 학과 수업과 교내 활동으로 실습 환경을 마련하여 순수 창작을 지원하는 한편, 대중매체 예술 분야 교육 사업도 전개하며 폭넓은 문예 창작의 산실이 되고 있다. 순수문학(시, 소설, 희곡) 창작 능력 제고, 민족적 정체성을 토대로 한 보편적 문학의 창작 능력 함양, 기독교 정신과 인문학적 지식에 기초한 심도 있는 문예 창작 교육, 시대성·대중성·예술성을 동시에 구현하는 뉴미디어 창작 환경 선도, 현장 주도적인 문화 예술 콘텐츠 생산능력 배양 등에 교육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학과 인재상

급변하는 문화예술 현장과의 긴밀한 교류·협력을 통하여 현장을주도할 수 있는 경쟁력을 확보한 인재

스마트 환경의 제반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뉴미디어 스토리텔링능력을 배양하여 미래 디지털 문화예술을 선도하는 인재

교과 과정

주요 커리큘럼

1학년

운문작법, 산문작법, 세계문학강독, 스토리텔링의 이해, 문학의 이해

2학년

시론, 소설론, 희곡론, 시창작, 소설창작, 희곡창작, 동화창작

3학년

비평론, 문예사조, 게임스토리텔링, TV드라마창작, 웹소설창작

4학년

문화콘텐츠기획, 방송구성작법, 출판기획, 카피창작실습, 현장체험

선택교과 가이드

일반선택

화법과작문, 독서, 언어와매체, 문학, 연극, 한문Ⅰ, 논리학, 논술

진로선택

심화국어, 고전읽기

학생활동

동아리 및 소모임 소개

극락(희곡 소모임), 시시한모임(시 소모임), 루키즈(게임 시나리오 소모임), 에고(영화 시나리오 소모임)

학과 특색 프로그램

워크숍: 졸업 후 진로와 관련된 분야의 현장전문가를 초청하여 현황과 흐름을 이해하고 재학 중에 준비해야 할 역량을 확인함

문학답사: 문인들의 고향, 문학작품의 배경 공간 등 문학창작의 산실을 찾아 창작 의 체취와 근원을 몸소 경험하며 창작의 동력을 체득함

정기문학강연회: 기성작가를 초청하여 강연을 듣고, 작가로서 가져야 할 방향성을 설정함

써머캠프: 등단한 선배들을 만나 실질적인 글쓰기 방법을 배움

윈터캠프: 현장에서 일하는 선배들을 만나 현장 작업 방식 및 필요한 역량을 배움

전통 스토리텔링 공모전: 학교 특성화 프로그램. 전통 서사를 연구 후 모티브로 삼아 시, 소설, 희곡, 영화, 퍼포먼스 등 원하는 작품으로 완성함, 공모전을 개최해 시상을 하고, 가을축제에서 발표회를 진행함

우수 학생 및 학과 성과

이옥수 작가: 사계절문학상, 청소년 소설, 장편 동화 창작

김태용 작가: 단편소설 등단, 한국일보문학상, 웹진문지문학상, 서울예술대학 문예창작전공 교수

김선아 시인, 작가: 실천문학 소설 등단, 현대문학 시 등단

조영주 작가: 세계문학상, 대한민국디지털작가상, 김승옥문학상

신춘문예 당선: 소설(장혜련, 이유리), 시(문혜연), 동화(이필자, 홍유진, 오미연), 희곡(이홍도, 김현준)

문예지 등단: 소설(임승훈, 김은영), 시(김소형), 동화(황인선)

문학상 수상: 소설(박지희), 시(김관민, 김혜린), 희곡(이다은, 이홍도, 김현준), 동화(양그림, 장은서, 박하림)

KBS TV드라마 단막극 공모 수상: 최하늬

취득 가능 자격증

독서논술지도사(한국자격평생교육원), 한국어능력시험(KBS 한국어진흥원)

진로 관련

졸업 후 진로

시인, 소설가, 극작가, 드라마 및 영화 시나리오 작가, 게임 스토리텔러 및 기획자, 출판편집및기획자, 카피라이터, 방송구성작가, 방송PD, 라디오작가

교수 연구 분야

시론, 시창작, 기독교문학, 소설론, 비평, 문예사조, 스토리텔링, 게임 스토리텔링, 문화콘텐츠기획, 희곡, 공연예술, 퍼포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