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lege Of Engineering • 공과대학
NT(나노기술), IT(정보기술), BT(바이오기술), ET(환경기술), ST(우주기술), 융합 교육
|
화학공학과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
chemeng.ssu.ac.kr
|
02-820-0610
|
학과 설립
1968 년
|
입학 정원
113 명
|
교직과정 개설여부
o
x
|
전임교원
18 명
|
학과 소개
숭실대학교 화학공학과는 본교 공과대학 창설과 함께 시작되어 지금까지 50년이
넘는 역사가 있다. 화학제품, 그리고 제품생산에 필요한 공정 및 장치 등을
개발하는 화학 기술 창조를 위한 기초 학문을 교육함으로써, 화학공업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할 엔지니어를 양성해 왔다. 더불어, 국가의 미래 성장 동력으로 꼽히는
NT(나노기술), IT(정보기술), BT(바이오기술), ET(환경기술)를 접목한 융합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여 21세기를 선도하는 창의적 화학공학 전문가를 길러내고 있다.
학과 인재상
스스로 창의적 연구 및 응용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는 인재
화학공학에 대한 전문지식, 화학공정에 대한 해석 및 설계 능력을갖춘 인재
국제적 경쟁력 확보를 위한 의사전달 및 정보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전문 인력으로 성장할 인재
기독교적 가치관과 봉사정신을 갖춘 공학 인재
주요 커리큘럼
화공열역학, 화공유체역학, 반응공학, 촉매공학, 공정제어, 분리공정, 이동현상, 석유
및 정밀화학, 반도체공학, 생물화학공학, 환경공학
선택교과 가이드
일반선택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물리학Ⅰ, 화학
학과 특색 프로그램
현장견학(산업시찰 및 공장견학)
전문가 초청 세미나
우수 학생 및 학과 성과
환경부 주최 물환경정책 기술 공모전 대상 수상
전국 화학공학 공정설계 경진 대회 입상
한국화학공학회 창의설계경진대회 은상 수상
취득 가능 자격증
화공기사, 생물공학기사, 수질환경기사, 대기환경기사, 화학분석기사, 폐기물처리
기사, 가스기사, 화약류제조기사, 산업안전기사 등
졸업 후 진로
정유 및 석유화학, 플랜트 엔지니어링, 반도체, 정보/전자, 에너지/환경, 고분자, 촉매,
배터리, 정밀화학, 자동차, 신재생에너지, 의약/화장품, 제약/식품분야엔지니어
공정모델링및모사, 공정설계, 공정조업, 공정관리연구
티타늄나노튜브를 이용한 연료감응 태양전지연구
천연화장품소재, 대체시험법 등의 뷰티공학연구
SSCT를 이용한 활성탄흡착 특성연구
대기오염물질(PFCs, VOCs,NOx)처리기술연구
고효율저비용에너지소자 및 나노소재연구
차세대 이차전지소자 및 소재연구
제약물질의 결정화 설계
바이오의약품 제조공정 및 품질평가 기술개발
유기/무기하이브리드생체모방소재개발 및 응용연구
전기화학소재/촉매합성 및 분석
Q 화학공학과와 화학과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A
화학과에서는 원자 및 분자의 성질과 구조, 그 변화를 연구하는 전통적인
화학영역을 주로 공부한다면, 화학공학과는 석유, 석유화학, 화장품, 제약 등의
응용분야 전문가를 양성하는 학과라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