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LEGE OF HUMANITIES • 인문대학

철학과

동서양 고전에 대한 깊은 이해와 급변하는 시대에 부응하는 사유인 양성

철학과

DEPARTMENT OF PHILOSOPHY

philo.ssu.ac.kr

02-820-0370

학과 설립

1954

입학 정원

31

교직과정 개설여부

o x

전임교원

5

학과 소개

철학은 모든 학문의 기초가 되며 학문의 역사에서 가장 오래된 유서 깊은 분야다. 자연과학이나 이공계 분야의 학문적 기초로서 수학이 꼽히듯, 철학은 인문·사회과학, 나아가 자연과학을 망라하는 모든 학문의 기초다. 1954년 서울캠퍼스가 재건할 때 창설되었던 숭실대학교 철학과는 본교 내에서도 가장 역사가 깊고 많은 졸업생을 배출한 학과다. 학생들이 철학적 전문성과 함께 시대의 흐름을 거시적인 안목에서 전망하고 선도할 수 있는 리더십을 갖춘 바람직한 지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있다.

학과 인재상

철학적 전문성과 함께 시대의 흐름을 거시적인 안목에서 전망하고 선도할 수 있는 리더십을 갖춘 바람직한 지성인

후학양성 인재: 언어와 지성을 갖춘 연구·교육전문가

교과 과정

주요 커리큘럼

1학년

철학입문, 문화와 철학, 논리와 사고, 동양의 지혜, 윤리적 문제해결

2학년

서양고대철학사, 동양고·중세철학사, 기호논리학, 철학원강, 철학적글 쓰기, 서양중세철학사, 서양근·현대철학사, 동양근·현대철학사, 윤리이론, 예술철학

3학년

한국철학사, 근현대독일철학, 희랍철학특강, 인식론, 문학과철학, 분석철학, 현대윤리학, 현상학과 해석학, 노장사상, 철학세미나

4학년

유학사상, 영미철학특강, 응용윤리학, 사회정치철학, 형이상학, 동아시아 철학특강, 현대유럽철학특강

선택교과 가이드

일반선택

수학Ⅰ, 영어Ⅰ, 세계사, 동아시아사, 생활과윤리, 윤리와사상, 철학, 논리학

진로선택

사회문제 탐구, 고전읽기, 고전과 윤리

학생활동

동아리 및 소모임 소개

학회: 고대철학, 윤리/정치철학(가리사니), 예술철학(언어예술분과), 과학철학, 동양철학(알쓸동철)

소모임: 필라이트, FCARETE, 제곱근

학과 특색 프로그램

철학과 학술제(초성제): 철학과 내의 학회들이 연합하여 진행하는 학술제로서 교수님과 대학원 및 학부 선후배들이 참여 (철학과 논문 경연대회, 소모임의 발표 및 공연)

서평제: 숭실철학 고전 필독도서 43선과 추천도서 5선 대상 독후감 경연대회

숭실철학특강: 학과 교수자 외의 전공 관련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다양한 철학적 입장에 대한 특강을 진행

우수 학생 및 학과 성과

2016년~2019년 한국장학재단 인문100년 장학금 장학생

취득 가능 자격증

중등교사 2급 자격증

진로 관련

졸업 후 진로

교수, 교사, 학자, 연구원, 대학원진학, 작가, 평론가, 감독, 출판, 예술문화계, 법조인등

교수 연구 분야

심리철학, 과학철학, 윤리학, 정치철학, 정치와 종교, 현대프랑스철학, 문예이론, 언어철학, 양명학, 아리스토텔레스

Q&A

Q 21세기에도 철학이 필요한가요?

A

철학은 모든 학문의 기초이며 동시에 궁극적인 학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급변하는 21세기 한국사회는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역량을 가진 인재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런 사회를 이끌어갈 지도자로 성장하려면 오히려 철학적 사고와 능력은 필수적인 요소가 된다고 하겠습니다. 현대 사회는 단순한 기능과 지식만을 가진 인간이 아니라 철학적 깊이를 가지고 그것을 능동적으로 활용하는 인재를 원한다는 사실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