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LEGE OF HUMANITIES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세계 문화 속의 한국인

국어국문학과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orlan.ssu.ac.kr

02-820-0320

학과 설립

1980

입학 정원

31

교직과정 개설여부

o x

전임교원

7

학과 소개

세계는 한국의 문화와 한글의 아름다움에 점차 주목하고 있다. 국어국문학과는 우리의 전통과 얼이 담긴 말과 글을 연구하며 우리 민족 문화의 텃밭을 만드는데 이바지할 전문인들을 길러낸다. 국어학을 비롯한 일반 언어학을 실생활에 접목하여 광고카피 등에 활용하는 강의, 문단 현장에서 작가 또는 평론가로 활동하시는 교수님의 현대문학 강의, 고전문학 작품의 현대적 계승과 실생활의 응용에 관한 강의 등은 다방면의 전문인을 위한 교과목으로 많은 학생이 관심을 두고 배우고 있다.

학과 인재상

수동적 이해력보다는 비판적 사고를 가지고 한 걸음 더 생각할 수 있는 인재

세계 문화 속에서 한국인으로서 독창성과 창조성을 발휘할 수 있는 유능한 인재

교과 과정

주요 커리큘럼

1학년

국어연구의 기초, 문학이란 무엇인가, 전공한문의 기초, 전공글쓰기, 한국문학의 이해

2학년

국어문법론, 현대소설론, 구비문학의 이해, 국어의미론, 현대시론

3학년

고전소설론, 국어의 역사, 현대시와 미의식, 시조가사론, 현대문학과 세계문학

4학년

현대문학비평과 실제, 고전텍스트의 응용, 방언과 문화, 현대희곡과 시나리오

선택교과 가이드

일반선택

화법과작문, 독서, 문학, 사회·문화, 한문Ⅰ, 논술

진로선택

심화국어, 고전읽기, 한문Ⅱ

학생활동

동아리 및 소모임 소개

현대문학학회, 고전문학학회, 언어학회, 민속문화학회

학과 특색 프로그램

연 1회 학술답사, 작가초청강연회

진로 관련

졸업 후 진로

교사, 방송작가, 시인, 소설가, 기자, PD, 편집자, 연구원

교수 연구 분야

고전시가, 고전소설, 현대시, 현대소설, 국어통사론, 국어음운론, 국어의미론, 한국어교육고전시가, 고전소설, 현대시, 현대소설, 국어통사론, 국어음운론, 국어의미론, 한국어교육

Q&A

Q 국어국문학과에 지원하려면 책을 많이 읽어야 하나요?

A

국어국문학과는 물론 모든 학과에 지원한 학생들이 책을 많이 읽었으면 좋겠습니다. 독서는 그 학생의 학업역량은 물론 지원 전공 적합성을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가 되기 때문입니다. 꼭 국어국문학과가 아니더라도 자신의 수준에 맞고 전공과 관련한 책을 많이 읽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