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제실무 전문가
|
경제학과
DEPARTMENT OF ECONOMICS
|
eco.ssu.ac.kr
|
02-820-0550
|
학과 설립
1954 년
|
입학 정원
80 명
|
교직과정 개설여부
o
x
|
전임교원
12 명
|
학과 소개
숭실대학교 경제학과는 숭실대학교가 서울에 재건하던 1954년에 설립됐다. 교수
연구부문 국내 상위 10%로 평가받는 우수한 교수진으로 구성된 학과로, 이론과
실무 교육을 통한 유능한 경제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연구와 교육에 힘을 쏟아 왔다.
경제학과는 글로벌 실무형 경제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해, 복수전공, 연계전공 제도를
통하여 경제학 전공 과정의 융합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각종 경시대회, 자격시험과
외국어 시험에 전폭적인 지원을 쏟는 것은 물론, 지도교수제 등을 통해 학생 중심의
교육을 실천 중이다.
학과 인재상
경제학 이론과 실무교육을 통하여 국가, 기업, 사회에 봉사하고 정보화, 세계화시대에
부응하는 유능한 경제전문가가 되고자하는 학생
주요 커리큘럼
경제원론, 경제수학, 회계원리, 국민경제의 이해, 국제통상개론
미시경제학, 거시경제학, 통계학, 계량경제학, 금융경제학, 국제무역론,
경제학 커리어, 경영학의 이해, 성경과 경제학
노동경제학, 산업조직과 공정거래, 공공경제학, 기업경제학, 기업금융과
투자전략, 개방경제변동론, 전략과 게임의 경제학, 조세정책론, 에너지경제학,
비교경제제도론, 금융공학의 이해
부동산경제학, 금융경제 실무특강, 기업경제예측론, 인사관리경제학,
국제금융론, 한국경제론, 경제학설사, 경제학특강
선택교과 가이드
일반선택
경제, 실용경제, 사회·문화, 미적분, 확률과 통계, 정치와 법, 논술
진로선택
경제수학, 사회문제 탐구, 영어권 문화
동아리 및 소모임 소개
이코노미터(한국은행통화정책경시대회 등 경제관련 공모전), MRI(기업분석 및
주식투자), 아델포스(농구), 아레스(축구), 신우회(기독교인모임)
학과 특색 프로그램
바른취업스쿨: 취업컨설팅 및 멘토링전문기업(더와이파트너스)에서 멘토링과
취업전문교육을 실시하는 프로그램
금융엘리트취업반: 금융공기업 및 민간금융기업취업을 위해 맞춤형특강,
고시실제공, 교재비·인강비 지원 프로그램
글로벌비즈니스챌린지: 대상국가의시장을 분석하고 물품을 구매하여 교내에서
판매하고 수익률을 경쟁하는 프로그램
미국인턴십프로그램 :미국 유수중견기업에서 인턴생활을 경험하여 전공에대한
실무경험을 쌓고 글로벌 생활을 체험하는 6개월 혹은 1년 단위 프로그램
캐나다어학연수: 여름방학기간 에캐나다어학연수프로그램을 통하여 집중적으로
영어를 교육함으로써 영어회화능력을 키우는프로그램
정앤유아카데미Finpus장학금지원: 금융실무교육 이수 후 인턴십 참여 기회 제공
모의주식투자대회: 국내·해외주식에 가상으로 투자하여 수익률을 경쟁하는
프로그램으로 경제이론과 실물경제의 접목능력을 배양하고, 기업평가 분석능력을 제고하는 프로그램
코딩학습(파이썬·R실습)을 통해 빅데이터기계학습 및 분석능력을 배양하여 빅데이터 활용 능력제고
회계법인공명에 인턴 파견
우수 학생 및 학과 성과
한국은행 통화정책 경시대회 수상
공인회계사 시험 다수 합격
취득 가능 자격증
공인회계사(금융감독원), 세무사(한국산업인력공단), 보험계리사(금융감독원),
감정평가사(한국산업인력공단), 공인노무사(한국산업인력공단), 투자자산운용사(금융투자협회)
졸업 후 진로
금융기관(은행, 증권회사, 보험회사, 자산운용), 경제 및 에너지 계열 공공기관,
공무원, 회계사, 세무사, 보험계리사, 감정평가사, 공인노무사
경제원론, 미시경제, 거시경제, 국제경제, 개방경제변동, 에너지 경제, 기업경제, 게임
이론, 금융경제, 노동경제, 인사관리경제, 통계, 계량경제, 기업금융과 투자전략,
한국의 에너지정책, 공공경제학, 조세정책론, 한국경제론, 경제정책, 금융공학, 금융경제실무
Q 경제학과에 지원하는 학생에게 필요한 역량은 무엇인가요?
A
경제 뉴스를 찾아본다거나, 경제 과목을 즐겁게 공부한 학생이라면 경제학과가
잘 맞을 것입니다. 경제학에서는 그래프, 수식, 통계를 많이 다루기 때문에 수리적인 능력,
논리력 등이 학업에 도움이 됩니다. 나아가 성장, 빈곤, 분배 등 경제 문제에
대해 지적 호기심을 가진 학생들에게 합리적 해답을 제시합니다.
※ 경제학과 대학원 진학 시 수업료 면제 및 성적우수자에 한해 월 40만 원의 학업지원비 2년 지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