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LEGE OF HUMANITIES • 인문대학
인간과 세계의 본원적 속성 및 현대 세계의 지향점을 성찰할 수 있는
21세기 지식인과 사회적 리더 양성
|
사학과
DEPARTMENT OF HISTORY
|
history.ssu.ac.kr
|
02-820-0380
|
학과 설립
1954 년
|
입학 정원
31 명
|
교직과정 개설여부
o
x
|
전임교원
6 명
|
학과 소개
사학과는 인간 본질을 탐구함으로써 우리 사회를 바라보는 시각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사학과 전공은 역사학 이론, 한국사, 동양사, 서양사, 고고미술사의
5개 교과 과정으로 역사와 지식을 탐구한다. 강의실 수업과 각종 현장 학습, 외국어로된
문헌 기록 연구 등으로 재학생들이 폭넓은 지식과 어학 실력을 쌓을 수 있도록
교육하고 있다. 특히 고고학과 한국근현대사 분야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으며, 제9대
국사편찬위원장인 유영렬, 현 한국학술원 회원 최병현 등 많은 동문이 학계에서 활약 중이다.
학과 인재상
역사적 통찰력에 바탕을 두고 우리의 시대적 과제를 함께 공부할 학생
역사에 대한 탐구 정신이 강한 학생
교과 과정
주요 커리큘럼
한국사입문, 중국사입문, 서양사입문, 고고학입문, 한국고고학개론
동양고대사, 서양고대사, 한국고대사, 한국사강독(한문), 일본사, 한국미술사,
중국고고학개론, 동양중세사, 서양중세사, 한국중세사
한국근세사, 한국사제문제, 서양근대사, 동양사강독(한자), 문화유산학,
한국근대사, 동양근대사, 한국대외관계사, 역사학의 이론과 방법, 동양미술사,
서양사강독(영어), 한국역사관의 이해
박물관학, 한국현대사, 동양현대사, 서양현대사, 서양사세미나, 한국독립 운동사
선택교과 가이드
일반선택
한국지리, 세계지리, 세계사, 동아시아사, 윤리와사상, 중국어Ⅰ, 일본어Ⅰ, 한문Ⅰ
학생활동
동아리 및 소모임 소개
학회: 한국고대사연구회, 한국근현대사연구회, 서양사연구회, 옛터지기&탁본
(미술사), 아시아사학회
소모임: 소리여울(밴드), 타물(풍물패)
학과 특색 프로그램
춘·추계 정기 학술답사, 해외 학술답사, 국내외 유적 발굴조사 현장 실습, 학술진흥재단
등재지 숭실사학(崇實史學) 발간, 교직 이수(역사 2급 정교사), 강독 수업을 통한
사료연구 및 외국어 능력 향상, 동문튜터와의 취업 및 진로 개발 프로그램 운영
취득 가능 자격증
중등학교 2급 정교사, 학예사
진로 관련
졸업 후 진로
진학(대학원, 유학), 교사, 박물관, 미술관 및 전시관(연구원, 학예사, 큐레이터), 언론계,
IT 산업 문화 콘텐츠 분야 등
교수 연구 분야
동양고대사, 동양고고학, 한국중세사, 한국근대사, 한국현대사, 한국고고학,
동양미술사,서양근대사,서양현대사
소개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