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LEGE OF SOCIAL SCIENCES • 사회과학대학

행정학부

공공부문의 다양한 현상에 대한
종합적 분석능력과 규범적 판단능력을 갖춘 인력 양성

행정학부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pubad.ssu.ac.kr

02-820-0510

학과 설립

1981

입학 정원

70

교직과정 개설여부

o x

전임교원

8

학과 소개

1981년 출발한 숭실대학교 행정학부는 급변하는 국내·외 환경 속에서 국민의 복지 증진과 국가경쟁력 향상을 위한 바람직한 행정체계와 공공정책에 대한 폭넓은 연구와 교육을 수행하고 있다. 행정학의 전통적 분야에 대한 교육과 함께 공공부문의 행정의 역할을 바르게 이해하고, 첨단 정보기술의 활용을 통해 공공부문의 개혁에 앞장서고 있다. 실무기반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과 민주적 리더십을 함양하며, 미래사회의 전문 행정인과 정책전문가로 양성하고 있다.

학과 인재상

통일지향적 공공성을 지닌 융합적 인재

창의성과 소통능력을 지닌 글로벌 인재

지능 정부 및 데이터 활용 역량을 지닌 혁신형 인재

주요 커리큘럼

행정학개론, 정치학개론, 경제학개론, 사회학개론, 행정법원론

행정이론, 행정조직론, 재무행정론, 디지털시대의거버넌스, 인사행정론, 비영리조직론, 공공데이터분석과 통계

지방행정론, 정책형성론, 기획론, 도시행정론, 정부와국가발전, 정책집행 및 관리론

환경행정론, 미래사회와정부혁신, 정부와기업, 문화융복합과정책, 협상 및 갈등관리

선택교과 가이드

일반선택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통계, 정치와법, 사회·문화

진로선택

사회문제 탐구

동아리 및 소모임 소개

모의국무회의, 모의정책갈등조정회의

학과 특색 프로그램

행정실무 워크숍: 정부 고위공직자를 초청하여 공직자의 리더십과 정책현장의 실제를 학습

행정기관 방문: 주요 공공기관을 직접 방문하여 행정 일선의 활동을 이해하고 현장을 경험

우수 학생 및 학과 성과

5급 공무원 공개경쟁채용시험(일반행정) 합격, 공인노무사 합격, 로스쿨 입학, 7급 및 9급 공무원 임용, 공공기관(한전 등) 취업

취득 가능 자격증

행정사, 노무사, 법무사 등

졸업 후 진로

각종 고시 및 공무원 시험을 통하여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공무원으로 일하거나, 각종 협회 및 공기업, 일반 기업체, 국내외 금융기관, 언론기관, 국제기구, NGO, 사회적 기업 ,대학원 진학 및 해외유학 등 다방면으로 진출

행정학 ,정책학, 도시계획학, 경제학

Q 행정학부가 경찰공무원 진로를 꿈꾸는 학생들에게도 적합한가요?

A

일반행정직렬이 아닌 경찰공무원을 포함한 직렬의 시험과목으로 행정학이 포함되지 않더라도 공무원 시험방식의 개편과 더불어 계속적으로 면접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 면접에서 필요한 이론과 실제의 역량이 바로 행정학부의 교과과정을 통해서 갖춰지게 됩니다. 아울러 채용 이후의 공무원 실무에서 행정학 전공자의 경우 이미 충분한 역량을 갖추고 있어 타전공자에 비해 뛰어난 성과를 나타내어 경력발전에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