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LEGE OF NATURAL SCIENCES •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

GLOBAL BRAIN 최고의 인재를 양성

물리학과

DEPARTMENT OF PHYSICS

physics.ssu.ac.kr

02-820-0420

학과 설립

1980

입학 정원

45

교직과정 개설여부

o x

전임교원

13

학과 소개

물리학과는 자연에서 관찰되는 여러 가지 원초적 현상을 이론과 실험을 통해 이해하 고, 나아가 주어진 현상을 단순화시켜 물리적 모형을 설정한 후 여기에 수리적 방법 을 적용해 분석하는 능력을 키우는 곳이다. 물리학 전반에 관한 체계적인 교육과정 을 운영하고 있으며, 컴퓨터와 AI를 이용한 문제 해결 능력을 습득하기 위하여 프로 그래밍과 AI 관련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다. 특히 새로운 분야의 전공과목을 계속 개 발하여 학생들에게 다양한 첨단지식을 교육하고 있다.

주요 커리큘럼

물리 및 실험, 기초물리응용, 화학 및 실험, 미적분학

역학, 현대물리, 현대물리실험, 수리물리, 파동과스펙트럼, 전자기학, 전자회로, 전자회로실험, 첨단기술과 물리학, 컴퓨터프로그래밍, 양자나노과학개론

양자역학, 통계물리, 전자기학실험, 컴퓨터 시뮬레이션, 광학, 광학실험, 반도체물리,양자나노소재 합성 및 분석,양자나노소재 프로그래밍

고체물리, 입자물리, 고급실험, 전자소재물리, 물리학특강, 논문연구, 핵및 천체물리, 상대성이론 및 우주론

선택교과 가이드

일반선택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통계, 물리학Ⅰ, 화학Ⅰ, 지구과학Ⅰ

진로선택

물리학Ⅱ, 지구과학Ⅱ, 과학사, 융합과학

동아리 및 소모임 소개

FMA(물리), RPM(축구), 신우회(신앙), 튜터링 및 스터디 그룹

학과 특색 프로그램

양자 나노 융합 전공 운영(화학과와 공동운영)

학부 연구생 제도(졸업논문 지도 교수 지정)

튜터링 및 스터디 그룹 지원

차세대 반도체 연계 전공 운영(차세대 반도체 디지털 혁신 공유 대학 사업참여)

AI반도체 융합 전공 운영(인공지능 반도체 융합 인력 양성 사업 참여)

숭실 물리학술제 실시(학부 연구생과 대학원생의 연구발표회, 매학기 실시)

중점 연구소 동계/하계 학부생 인턴십 운영 (우주물질 연구소/기초 과학 융합 연구소 모두 운영)

우수 학생 및 학과 성과

2021년 대학중점연구소 선정 (우주물질연구소, 소장 천명기 교수(물리학과), 연간 7.7억씩 최대 9년간)

2021년 대학중점연구소 선정 (기초과학융합연구소, 소장 이윤상 교수(물리학과), 연간 12.1억씩 최대 9년간)

학부생(이여진, 4학년) SCIE 등재 저널 (Applied Physics Express)에 제1저자로 논문 발표 (2022년)

Doris Kim(김양수) 교수, 입자실험물리 분야 연구원 1,100여 명(26개국)이 참여 하는 Belle II 실험의 대표자 회의 부의장으로 선출(2022년) 및 의장 승계(2023년)

취득 가능 자격증

중등학교 2급 정교사 자격증(4년제 대학교의 물리학 관련 학과 재학 중 교직과목 이수 시), 변리사, 전기기사·전기공사기사, 전자기사·전자계산기기사·반도체설계기사, 전자회로설계산업기사·디지털제어산업기사·반도체설계산업기사, 방사선동 위원소 취급면허, 원자력발전기술사·방사선관리기술사, 원자력기사·열 관리기사, 비파괴기사

졸업 후 진로

국책·기업체 연구소, 교직(중등교사 2급 정교사 자격증), 반도체 기업, 에너지 기업, 환경관련기업,전문자격시험(변리사), 금융분석가, 진학(대학원,유학)

소립자물리,통계 및 전산물리, 초전도, 나노중시물리, 표면/계면/박막물리, 고체분광학실험, 우주·천체 및 핵물리, 반도체 응용물리, 입자물리 실험, 액정 및 광학실험, 방사광가속기X-선연구, 반도체소자물리